비대면 면접도구 inVIEW를 통해서 실제 현장처럼 면접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력한 관리자 도구 제공으로 최적화된 면접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장 보안에 민감한 조직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구축된 데이터센터 및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관리자 매뉴얼
MANUAL LIST
01. 채용 관리자
02. 평가자(면접관)
03. 응시자(PC)
04. 응시자(모바일)
05. 예비 면접방
inVIEW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사전에 공지 없이 UI/UX 등의 디자인 및 기능이 변경될 수 있으며,
영상 및 서버관련 기능 역시 수정 되거나 변동 될 수 있음을 안내 드립니다.
본 내용과 관련된 문의는 hello@reina.soluions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inVIEW Device Arrangement Guide
NO
DESCRIPTION
1
아이디는 사전에 발급받아야 합니다.다.
2
실시간 채팅으로 문의 합니다.
1
생성된 면접내역 목록
채용명(면접명)
3
담당자명 표시
4
면접 대상자 수는 설정을 통해 명단을 입력한 경우에만 표시됨
5
면접이 진행중이거나 면접이 종료된 경우 표시.
대기중인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으며,판정이 보류된 인원수가 합산되어 표시됩니다.
6
면접의 상태를 표시
7
설정 내용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8
채용명으로 검색(기간설정 가능)
9
새로운 채용(면접)을 추가합니다.
(다음 페이지 화면)
채용이 동시에 진행될 경우 수험번호가 동일한 응시자가 있을 경우 로그인이 되지 않습니다.
수험번호를 바꾸던지 혹은 채용관리자 아이디를 다른 계정으로 발급받아야 합니다.
총 5개의 설정 합니다.
면접이 진행되거나 종료되었을 경우 결과목록을 확인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진행했던 면접 목록에서 설정을 불러옴니다. 단, 기본설정만 불러오기 가능
빠른 면접 진행을 위해 전형내용/응시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설정을 Quick으로 호출하여 사용
기본설정을 완료 후에 반드시 확인을 눌러야 저장 됩니다.(이후 모든 설정에서도 동일)
전형명을 입력합니다.
응시기간을 입력합니다. (응시기간 이내에서는 언제든 면접이 가능합니다.)
선택한 내용을 아이디로 사용합니다. (디폴트는 수험번호)
선택한 내용을 비밀번호로 사용합니다. 전화번호는 뒤 4자리를 입력합니다.
1조당 면접시간을 입력 합니다.
1조당 면접을 볼 인원을 선택합니다.
면접 유형을 선택합니다.
(PT면접의 경우, 그 특성상 1조당 인원은 1명으로 설정해야 진행이 원활하게 됩니다.)
총 면접실 수를 설정합니다.
물리적인 면접실과 동일한 개념입니다. 각 면접실에 면접관이 입장하게 됩니다.
면접순서를 어떻게 할지 결정합니다.
만약, 수험번호로 조가 짜여진 경우 수험번호 순으로 하면 됩니다. 디폴트는 접속 순입니다.
0
평가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평가지 설정은 별도의 설정 메뉴에서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기존에 설정된 평가지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영상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영상 저장 기능을 사용하면 면접 종료 후 면접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일정 시간 이후에는 자동 삭제 되므로 기간 종료 전에 다운 받아야 합니다.
주의! 과도한 트래픽으로 진행중인 면접 네트워크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실시간 전송이 아닌 면접 종료 후 업로드가 시작됩니다.
그러므로 사전에 응시자에게 면접이 종료되더라도 일정 시간 브라우저를 닫지 않도록 안내해야 합니다. 이러한 우려를 막기위해 윈도우의 기본 기능 중 하나인 화면 녹화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각 면접실에서 진행된 결과 목록을 하나로 통합할지 선택합니다.
다른 면접실에서 진행된 면접이라도 같은 전형이라면 통합해야 합니다.
기본설정을 완료 후에 반드시 확인을 눌러야 저장됩니다.
(이후 모든 설정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면접 대상자를 입력 합니다.
인원이 많지 않을 경우에는 직접입력으로 매우 간단하게 대상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면접 대상자가 많을 경우 엑셀 파일로 명단을 정리해서 빠르고 간단하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③의 샘플 파일의 포맷에 맞추어 정리하면 됩니다.
만약, 파일입력 후 ④번 보기에서 바로 명단을 볼 수 없다면, 결과보기 목록을 한번 조회하고 난 뒤 보여질 수 있습니다.
샘플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동일한 포맷으로 내용을 입력하면 됩니다.(상세 설명은 다음 페이지 참조)
명단을 입력하고 난 뒤, 명단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NO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생년월일의 경우 필수 입력 항목은 아닙니다.
동명이인의 응시자를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배정된 면접실을 입력 합니다.
주의! 일반 설정에서 개설한 면접실 수만큼 배정할 수 있습니다.
주의! 면접조와 면접실 번호를 혼동하면 안됩니다.
지원분야를 입력합니다. 필수 입력 항목은 아닙니다.
평가자(면접관) 목록입니다. 등록된 평가자가 표시됩니다.
평가자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평가자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평가가 등록 창입니다.
내용 입력 후 등록을 누르면 등록됩니다.
이전 평가자를 불러옵니다. 목록에서 선택해서 바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권한을 설정합니다.
평가자와 채용관리자 중에서 선택합니다.
주의! 단순 면접관이라면 평가자로 선택해야 합니다.
내부직원인지 외부대행인지 선택합니다. 보안을 위해 선택합니다.
로그인이 가능한 기간을 입력 합니다.
로그인을 할 수 있는 계정을 부여합니다.(비밀번호는 전화번호 뒷자리 4자리 입니다.)
관리자 계정에 번호를 붙여 생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면접실을 배당합니다.
연락처를 입력합니다. 뒷자리 4개는 비밀번호로 사용됩니다.
SMS로 보낼 문구를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 문자치환을 통해 각 응시자별로 안내를 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문구가 목록으로 표시됩니다.
목록에서 선택하여 ③에서 문자를 발송 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문자 내용으로 SMS를 보낼 수 있습니다.
발신번호는 관련법에 따라 직접 수정할 수 없습니다. 에듀스에 문의해야 합니다.
어떤 기준으로 평가해야 하는지, 평가시에 유의 할 점 등을 입력하는 입력란입니다.
평가항목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성실성, 창의성, 논리성 등의 큰 항목입니다.
주의! 평가항목을 입력하지 않으면 평점을 입력하더라도 반영되지 않습니다.
세부평가항목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성실성이란 평가항목이 있다면 세부항목은 그것을 입증할 구체적인 내용으로 학점, 토익 점수, 출결사항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점수 방식으로 합격을 판정할 때 각 항목별 점수 기준을 입력합니다.
10점~100점까지 10점 단위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모든 평점 기준을 합산하여 ⑦에 표시됩니다.
만약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합/불 방식으로 판정합니다.
불필요한 행을 삭제합니다.
항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④에서 입력한 평점의 총합을 표시합니다.
완료 버튼을 눌러 저장합니다.
합격/불합격 판정을 내릴 수 없을 경우, 즉 논의가 필요한 경우 보류 판정을 내립니다.
체크박스에서 목록 선택 후, 합격 처리합니다.
체크박스에서 목록 선택 후, 불합격 처리합니다.
체크박스를 통해 목록에서 대상자를 선택하여 SMS를 발송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⑤와 함께 사용해서 특정 대상자에게 내용을 통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합격자에게만 합격 문자를 통지할 수 있습니다.
보기의 필터링을 선택합니다.
체크박스를 통해 목록에서 대상자를 선택하여 메일을 발송할 수 있습니다.
명단을 엑셀이나 PDF 혹은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평가지 설정을 하지 않아서 점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②, ③ 기능으로 합/불을 판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많은 인원에 대한 합/불 판정이 필요한 경우 명단입력을 통해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 참조)
총 몇 개의 면접조가 있는지 표시됩니다.
해당 응시자를 목록에서 삭제합니다.
주의! 면접이 완료된 응시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응시자의 면접 상태를 표시합니다. 대기/응시로 표시됩니다. 앞의 숫자는 면접조를 표시합니다.
각 면접관의 평가지를 볼 수 있습니다.
평가지 설정을 통해 점수가 설정되었을 경우 평가 점수가 표시됩니다.
응시자의 결과지를 볼 수 있습니다(평가지에 입력한 내용) 다음 페이지 참조
합/불 판정을 통해 합격/불합격 여부가 표시됩니다.
평가 판정을 점수로 할 경우 합격자 커트라인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10% 단위로 설정 가능합니다.
설정된 비율로 순위를 처리합니다.
주의! 비정상적 종료로 점수가 없을 겨우 순위처리에서 제외됩니다.
많은 인원에 대한 합/불 판정이 필요한 경우 명단입력을 통해 한꺼번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②의 명단 파일을 입력 받아 ⑤와 같이 합격 1, 불합격 2를 입력 후 파일을 등록합니다.
명단 파일 ③을 다운 받습니다. 입력된 포맷으로 내용을 입력 합니다.
엑셀로 된 명단입니다.
주의! 모든 대상자 명단이 출력됩니다. 여기에는 미응시자도 포함됩니다.
주의! 이 내역은 시스템상 관리에 필요한 것으로 절대 수정하면 안됩니다.
합격 1, 불합격 2로 입력합니다.
주의! 명단을 업로드 하게 되면 기존 합/불 판정은 모두 덮어쓰게 됩니다.
동영상 저장으로 설정했을 경우 응시자의 면접 영상을 재생할 수 있습니다.
저장된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됩니다. 플레이를 누르면 재생됩니다.
AI STT 기술로 응시자의 영상속에서 답변 내용을 추출하여 스크립트로 제공합니다.
PT 면접일 경우 첨부한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평가지 내용입니다.
합/불/보류 등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를 입력합니다.
아이디는 사전에 각 기업 채용 담당자에게 발급 받아야 합니다.
비밀번호는 채용담당자가 등록한 평가자의 전화번호 뒷자리 4자리 입니다.
실시간 채팅으로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계정 관리 문의는 해당 기업 채용관리자에게 문의하여야 합니다. 본 문의는 시스템 장애에 대해서만 응답 가능 합니다.
평가자(면접관) 로그인 상태를 보여줍니다.
면접관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채용 목록이 보여 집니다.
채용명이 표시됩니다.
면접이 진행되는 기간을 표시합니다.
기업 채용 담당자가 누구인지 표시합니다.
자신이 배정된 면접실에서 면접을 진행할 응시자 수를 표시합니다.
자신이 배정된 면접실에서 면접을 진행할 응시자 수 중에서 미응시자를 표시합니다.
해당 면접이 어떤 상태인지 보여줍니다. 대기/진행중/완료 등으로 표시됩니다.
면접 시작 버튼입니다. 면접실로 입장할 수 있습니다.
검색기능을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채용담당자가 설정한 면접 설정 내역이 보여집니다.
면접관의 모습이 보여집니다.
만약 웹카메라의 문제가 있어서 화면이 보이지 않을 경우 ③을 눌러 장비점검을 해야 합니다.
주의! 마이크 권한 설정이 없을 경우 웹카메라도 표시되지 않습니다.
만약, 카메라나 마이크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 설정을 통해 반드시 기능을 활성화 하여야 합니다. 또한, 웹브라우저에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장비설정 기능입니다.(다음 페이지 참조)
음성인식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인식이 될 경우 ⑤음성 파형이 표시됩니다.
음성 파형이 표시됩니다. 파형이 없을 경우 ③을 눌러 장비점검을 해야 합니다.
면접실로 이동합니다.
키보드 이상유무를 확인합니다.
마우스 이상유무를 확인합니다.
웹카메라의 이상유무를 확인합니다.
만약, 카메라나 마이크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 설정을 통해 반드시 기능을 활성화 하여야 합니다. 또한, 웹브라우저에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일부 노트북은 사생활 설정에서 해당 설정을 해야 합니다.
마이크의 이상유무를 확인합니다. 이어마이크(헤드셋)도 사용 가능합니다.
면접전형명이 표시됩니다.
현재 진행중인 조가 몇 조인지 보여줍니다.
응시자 명이 표시됩니다. 응시자가 다수인 경우 드랍다운 박스로 응시자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면접대기자 목록이 보여집니다.
대기자에게 채팅을 보낼 수 있습니다.
대기자 목록 닫기 버튼입니다. 대기자 목록을 닫으면 면접평가표가 보입니다.
(다음 페이지 참조)
[남은 면접시간/총 면접 시간]을 보여줍니다.
주의! 면접 시작 버튼을 눌러야 시작됩니다. 만약 응시자가 다수일 경우 제일 마지막에 입장한 사람 기준으로 다시 시작됩니다.
응시자를 면접실에 참여 시키기 전에는 본 화면은 비어 있습니다.
면접관 화면 영역입니다.
응시자 혹은 면접관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해 접속이 끊어지거나 기타 이유로 면접 대기자 목록에서 없어진 응시자를 다시 면접실에 입장 시킬 수 있습니다.
(다수의 응시자가 있을 경우 드랍다운 목록에서 선택하면 특정 응시자에게 적용 됩니다.)
정상적인 면접 참여자가 아닐 경우, 혹은 기타 사유로 면접실에서 특정 응시자를 강퇴 시킬 때 사용됩니다. (다수의 응시자가 있을 경우 드랍다운 목록에서 선택하면 특정 응시자에게 적용 됩니다.)
PT면접일 경우 응시자 등록한 PT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화면 공유 기능입니다.
관리자가 응시자가에 자료 등을 보여줘야 할 경우 사용됩니다.
주의! 화면 공유시에 전체 화면을 선택해야 합니다.
화면 공유를 중지할 경우 화면공유중지 버튼을 누르고, 브라우저 하단에 있는 ⑥번의 경고창에서도 공유중지를 눌러야 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면접 조의 면접을 종료할 때 사용합니다.
응시자 정보가 표시됩니다.
면접 대기자를 선택하여 1명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창입니다.
⑥에서 숨기기를 한 대기자를 다시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면접대기자의 이름과 조를 표시합니다.
이름을 누르면 해당 대기자를 면접실로 입장 시키게 됩니다.
불참자 등을 보이지 않도록 숨기는 기능입니다.
다시 표시하고 싶을 경우 ④의 전체 보이기를 누르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접속한 사람만 표시합니다.
면접실 입장은 온라인으로 접속하여 대기중인 사람만 가능합니다.
면접대기자를 로그아웃 시킵니다.
본인 순서가 아닌 경우나 부정행위자를 차단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면접 시작을 누르면 면접이 시작됩니다.
주의! 응시자가 다수일 경우 제일 마지막 응시자 기준으로 시간이 시작됩니다.
면접 대기자 목록에서 면접에 참여시킬 사람을 선택하면 ②와 같이 참여 여부를 묻습니다.
확인을 누르면 면접실로 참여 시키게 됩니다.
면접참여 여부를 팝업으로 보여줍니다.
참여시킬 경우 ③영역에서는 면접관이 보여지고 ④영역에서는 응시자가 보여집니다.
면접관 화면 표시 영역입니다.
응시자 화면 표시 영역입니다.
Mute 기능입니다.
응시자의 답변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면접관 PC의 사운드를 끄는 기능)
MIC OFF 기능입니다. 면접관 소리가 응시자에게 들리지 않습니다.
(면접관 PC의 마이크를 끄는 기능)
면접관 웹 카메라 OFF 기능입니다. 면접관 화면이 응시자에게 보이지 않습니다.
대기자 목록 버튼을 닫으면 보여지는 면접 평가표입니다.
만약 채용관리자가 평가표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해당 평가표로 합/불 평가나 점수 입력 등은 할 수 없습니다. 단순히 면접 내용을 기입할 수는 있습니다.
주의! 응시자가 다수인 경우 응시자 목록 드롭다운 메뉴에서 응시자를 선택하면 해당 평가표를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면접 대기자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채용관리자가 평가표를 설정했을 경우 평가 항목별로 점수를 줄 수 있습니다.
그 점수의 총합이 ④에 표시됩니다.
채용관리자가 평가표를 설정했을 경우 총점이 표시됩니다.
채용관리자가 평가표를 설정할 때 점수가 아닌 합/불 판정으로 설정했을 경우 총점으로 평가하지 않고 합격/불합격으로 바로 판정합니다.
만약, 점수 평가로 설정했을 경우 점수 입력과 제출 버튼이 있습니다.
주의! 반드시 제출을 해야지만 저장됩니다.
면접을 종료합니다.
확인을 누르면 해당 조의 면접은 종료됩니다.
채용담당자에게 안내 받은 계정을 입력합니다.
(inVIEW에서는 초기값으로 수험번호를 사용합니다.)
비밀 번호를 입력합니다.
(inVIEW에서는 초기값으로 응시자의 전화번호 뒷자리 4개를 사용합니다.)
로그인에 문제가 있을 경우 채용담당자에게 표시된 방법으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PC를 사용하는 응시자는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멕OS의 경우에도 크롬을 설치하여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
자신이 면접대상자인 채용명이 맞는지 확인 해야 합니다.
(만약 아니라면, 브라우저 창을 닫고 채용 담당자에게 문의하여 정확한 응시 URL을 안내 받아야 합니다.)
이름을 입력합니다.
(만약, 채용 담당자가 면접 대상자에 이름을 포함하여 등록하였다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동명이인을 구별하기위한 용도입니다.
(만약, 채용 담당자가 면접 대상자에 생년월일을 포함하여 등록하였다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수험번호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PT면접이거나 기타 면접에 사용될 자료 등록이 필요한 경우 파일을 첨부합니다.
(* PDF, MS OFFICE 파일만 등록 가능합니다.
HWP 파일은 등록할 수는 있지만 면접관 기능 중 일부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반드시 확인을 눌러 저장합니다.
면접조와 예상 면접 시간이 표시됩니다.
예상 면접 시간은 정확한 것은 아니므로 적어도 본인 면접 시간 20~30분 전에는 대기 상태에 있어야 합니다.
면접을 시작하기위해 캠화면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장비설정 기능입니다.
응시자 본인의 화면이 보입니다.
채용 담당자가 응시자에게 보내는 채팅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단,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응시자는 면접관에게 쪽지를 보낼 수 없습니다.
면접이 시작되면 면접관이 보여지는 영역입니다.
화면 공유 기능에서는 공유된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면접 종료 화면입니다.
로그인에 문제가 있을 경우 채용담당자에게 메일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카메라나 마이크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컴퓨터 설정을 통해 반드시 기능을 활성화 하여야 합니다.
또한, 웹브라우저에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확인 합니다.
안드로이드를 사용하는 응시자는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
iOS의 사용자는 사파리 브라우저를 사용해야 합니다.(최신버전 업데이트 필수)
생년월일을 입력합니다.
동명이인을 구별하기위한 용도입니다.
HWP 파일은 등록할 수 없습니다.)
면접을 시작하기 위해 시작하기를 누릅니다.
! 주의 면접 시작을 위해 반드시 폰을 가로보기로 해야 합니다.
응시자 화면이 보여집니다.
음성인식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인식이 될 경우 ③음성 파형이 표시됩니다.
음성 파형이 표시됩니다.
파형이 없을 경우 ③을 눌러 장비점검을 해야 합니다.
면접 대기실로 이동 합니다.
면접 조를 표시합니다.
응시자 화면입니다.
면접관이 보내는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단, 회신하거나 면접관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습니다.
주의! 본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으면 면접관이 면접실로 참여 시키게 됩니다. 그러면 면접이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진행 중인 면접조를 표시합니다.
남은 면접 시간을 표시합니다.
면접관 화면입니다.
주의! 면접관이 면접을 종료 시키면 면접이 끝납니다.
응시자의 네트워크 성능의 문제로 면접을 제대로 보지 못한 응시자를 위해 inVIEW에서는 예비 면접방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응시자에게 예비 면접방 URL를 전달하고 수험번호로 로그인을 하게 하면 응시자가 예비 면접방에 입장하게 됩니다.
https://treff.reina.solutions/inview
사전에 에듀스에서 전달 받은 관리자 계정을 입력 합니다. 통상적으로 면접관 계정과 동일하게 발급됩니다.
화상 면접방의 번호를 입력합니다.
만약 2곳의 면접실에서 동시에 면접이 진행된다면 A001, A002와 같이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주의! 모든 inVIEW 이용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솔루션으로 방번호는 고유하게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러므로 영문+숫자 조합으로 만들어서 고유값을 가지도록 설정합니다.
생성된 링크를 응시자의 메일로 전송하여 입장하게 합니다.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입니다.
주의! 예비 면접방의 내용은 녹화가 되지 않으므로 화면캡처 기능을 이용하여 내용을 녹화 해야 합니다.